한국 천주교의 자생적 탄생

한국 천주교의 자생적 탄생 천진암에서 시작된 놀라운 이야기 1845년, 조선 땅을 밟은 성 다블뤼 주교는 믿기 힘든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선교사가 공식적으로 들어오기도 전에, 조선인들 스스로가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이고 전파해왔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놀라운 역사는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18세기 후반, 호기심 많은 젊은 유학자들이 금지된 학문을 만나면서 시작된 한국 천주교의 자생적 탄생 이야기를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천진암에서의 역사적 만남: 새로운 세상을 꿈꾼 젊은 선비들 서학(西學)이라는 새로운 지식 체계: 유학자들을 사로잡은 서양의 가르침 이승훈의 북경 여행과 세례: 진리를 찾아 떠난 위험한 여정 최초 신앙 공동체의 형성: 신분과 성별을 초월한 혁명적 모임 박해와 희생의 시대: 시대의 벽 앞에 선 청년들의 비극 1. 천진암에서의 역사적 만남: 새로운 세상을 꿈꾼 젊은 선비들 경기도 광주 천진암, 한국 천주교의 발상지 경기도 광주에 위치한 천진암(天眞庵) 은 오늘날 한국 천주교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지만, 18세기 후반에는 젊은 학자들이 모여 세상을 논하던 학문의 장이었습니다. 조선 후기 최고의 실학자 다산 정약용은 자신의 문집 『여유당전서』에서 이곳을 '이벽이 독서하던 곳'이라 회고하며, 그와의 추억을 기록했습니다. 1779년 겨울, 운명적인 강학 모임 1779년 겨울, 바로 이 천진암에서 특별한 모임이 열렸습니다. 권철신을 좌장으로 정약용 형제 등 10대와 20대 안팎의 젊은 선비들이 모여 유교 경전을 공부하는 강학(講學) , 즉 오늘날의 세미나였습니다. 그런데 모임이 한창일 무렵, 한 사내가 뒤늦게 도착했습니다. 바로 광암(曠庵) 이벽...